|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평택대형카페추천
- 공부
- 영광바다앞카페
- 공부잘하는법
- 공부잘하는방법
- 전남대형카페추천
- 평택대형카페
- 장성카페
- 담양
- 국내여행
- 영어공부
- 영어공부방법
- 영광카페추천
- 영광해안도로카페
- 영광대형카페
- 전남카페추천
- 담양대형카페
- 집중력
- 장성대형카페
- 담양카페추천
- 전남카페
- 평택
- 8월국내여행
- 장성카페추천
- 담양카페
- 평택카페
- 평택카페추천
- 전남대형카페
- 라푼젤
- 영광해안도로
- Today
- Total
for.제이
종합소득세 신고를 늦추면 어떤 가산세가 붙을까?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본문
📌 종합소득세 신고를 늦추면 어떤 가산세가 붙을까?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종합소득세 신고를 제때 마치지 못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습니다.
특히 프리랜서, 개인사업자처럼 일정이 불규칙한 분들은 “며칠 늦어도 괜찮겠지” 하고 넘기다가 가산세가 예상보다 많이 붙는 상황을 겪기도 하죠.
이번 글에서는 종합소득세를 늦게 신고했을 때 어떤 벌금(가산세)이 발생하는지, 그리고 실제 어느 정도 금액이 나오는지를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보았습니다.

✔ 1. 신고가 늦으면 어떤 벌금이 생기나?
종합소득세는 신고 기한 안에 신고·납부를 완료해야 합니다.
기한을 넘기면 아래 세 가지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1) 무신고 가산세
신고 자체를 하지 않았을 때 부과되는 벌금입니다.
- 기본 20%
- 소득을 일부러 숨긴 경우 40%까지 증가
예를 들어 납부해야 할 세금이 180만 원이라면
→ 신고를 하지 않은 것만으로도 36만 원의 가산세가 생깁니다.
🔸 2) 납부불성실 가산세
신고는 했지만 세금을 늦게 낼 때 붙는 벌금입니다.
- 하루 기준 0.025%씩 증가
- 한 달이면 약 0.75%
예를 들어 납부세액이 120만 원인데 20일 늦어졌다면
0.025% × 20일 = 0.5%
120만 원 × 0.5% = 6,000원 정도가 가산됩니다.
🔸 3) 증빙서류 미제출 가산세
필요한 서류를 제출하지 않거나 빠뜨렸을 때 부과됩니다.
규모에 따라 5만 ~ 100만 원 정도 붙을 수 있습니다.
✔ 2. 실제 사례로 보면 더 이해가 쉬움
🟦 사례 1: 2주 정도 늦은 사람
- 납부세액: 95만 원
- 신고는 제때 했고, 납부만 14일 늦음
→ 납부불성실 가산세만 적용
0.025% × 14일 = 0.35%
95만 원 × 0.35% ≈ 3,325원
👉 며칠 늦는 정도는 큰 부담이 되지 않음
🟥 사례 2: 신고 자체를 1달 넘게 미룸
- 납부세액: 150만 원
- 신고도 납부도 둘 다 35일 지연
→ 무신고 가산세 20% = 30만 원
→ 납부불성실 가산세 약 10일분
👉 총 가산세 약 31만 원 이상
신고 자체가 늦어지는 순간 벌금 폭이 확 커집니다.
✔ 3. 국세청은 언제 연락을 할까?
요즘은 국세청이 데이터를 자동으로 파악하기 때문에
예전보다 훨씬 빠르게 안내문이 도착합니다.
- 2주 정도 지연 → 안내 거의 없음
- 1개월 지연 → 문자 또는 카카오 알림
- 2개월 이상 지연 → 고지서 발송
- 3개월 이상 지연 → 가산세 확정 + 독촉/압류 예고 가능
신고·납부를 미루면 미룰수록 절차가 점점 파워업되는 구조입니다.
✔ 4. 벌금을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 1) 신고 먼저 하고 납부는 뒤에 해도 됨
무신고 가산세가 가장 크기 때문에
신고만 먼저 하면 20% 벌금을 피할 수 있음
🔹 2) 자진신고 하면 일부 감면 가능
국세청에서 먼저 연락하기 전에 스스로 신고하면
일부 가산세가 줄어듭니다.
🔹 3) 분납 신청 활용
세금이 200만 원 이상이면 분납 가능.
부담 없이 나누어 낼 수 있음.
🔹 4) 신고 금액이 과하게 계산되었다면 ‘경정청구’
나중에 다시 검토해서 세금을 줄이거나 환급받을 수도 있음.
✔ 5. 핵심 요약
- 신고 안 하면 → 무신고 가산세 20%
- 납부 늦으면 → 매일 0.025% 증가
- 1~2주 늦는 건 가산세 매우 적음
- 1달 이상 지연하면 벌금 급증
- 신고 먼저 하고 납부는 나중에 할 수 있음
- 가능한 빨리 자진 신고하는 것이 가장 유리
✔ 마무리
종합소득세는 한두 번 놓치면 금액이 크게 불어나기 때문에
가능한 한 신고를 먼저 해두는 것이 최선의 선택입니다.
특히 프리랜서, 자영업자분들은 종합소득세 일정이 직접적인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신고와 납부를 분리해서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훨씬 여유 있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 자동차 보험료를 절약하는 실전 팁
을 이어서 정리해드릴 예정입니다.
